본문 바로가기
의학 뉴스

제2형 당뇨병 환자들에게 SGLT-2 억제제 사용이 치매 위험을 감소

by 행복한 투자자 2024. 9. 11.

최근 발표된 의학 논문 중 가장 영향력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논문은 2024년 8월 28일 BMJ(British Medical Journal)에 발표된 "SGLT-2 inhibitors and dementia"입니다. 이 논문은 제2형 당뇨병 환자들에게 SGLT-2 억제제 사용이 치매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논문 배경

제2형 당뇨병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만성질환으로, 심혈관 질환, 신장 질환 등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최근 연구들은 당뇨병이 치매 발병 위험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의 증가와 고령화 사회로 인해 치매 환자 수도 급증하고 있어, 이 두 질환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현재 제2형 당뇨병의 주요 치료제로는 메트포르민(Metformin), DPP-4 억제제, SGLT-2 억제제, GLP-1 수용체 작용제 등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SGLT-2 억제제는 신장에서 포도당 재흡수를 억제하여 혈당을 낮추는 약물로,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도 입증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현재 치료법과 문제점

현재 당뇨병 치료 지침에 따르면, 메트포르민을 1차 치료제로 사용하고, 혈당 조절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SGLT-2 억제제나 GLP-1 수용체 작용제 등을 추가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주요 SGLT-2 억제제로는 다파글리플로진(Dapagliflozin, 제품명: Farxiga), 엠파글리플로진(Empagliflozin, 제품명: Jardiance), 카나글리플로진(Canagliflozin, 제품명: Invokana)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당뇨병 치료의 주요 목표가 혈당 조절과 심혈관 질환 예방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치매와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에 대한 고려는 상대적으로 부족했습니다. 이는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장기적인 건강 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었습니다.

논문의 주요 내용과 의의

이번 연구는 40-69세의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SGLT-2 억제제 사용이 치매 발병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연구 결과, SGLT-2 억제제를 사용한 환자군에서 DPP-4 억제제를 사용한 대조군에 비해 치매 발병 위험이 유의미하게 낮았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당뇨병 치료제 선택 시 혈당 조절뿐만 아니라 치매 예방 효과도 고려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습니다. 특히 고령화 사회에서 치매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 연구는 당뇨병 환자의 종합적인 건강 관리 전략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향후 치료 지침 변화 전망

이 연구 결과가 향후 당뇨병 치료 지침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미국당뇨병학회(ADA)와 유럽당뇨병학회(EASD)의 지침에서는 이미 SGLT-2 억제제를 심혈관 질환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 우선적으로 고려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지침 개정 시 치매 위험이 높은 고령의 당뇨병 환자에게도 SGLT-2 억제제 사용을 더욱 강조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이 연구 결과는 당뇨병 환자의 치료제 선택 시 환자의 연령, 동반 질환, 치매 가족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개인 맞춤형 접근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관련 기업 및 투자 전망

SGLT-2 억제제 시장의 주요 기업으로는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존슨앤존슨(Johnson & Johnson), 일라이릴리(Eli Lilly),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 등이 있습니다. 특히 아스트라제네카의 다파글리플로진(Farxiga)과 베링거인겔하임/일라이릴리의 엠파글리플로진(Jardiance)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번 연구 결과가 SGLT-2 억제제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더욱 높일 것으로 전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아스트라제네카의 경우, 2023년 재무보고서에 따르면 Farxiga의 매출이 전년 대비 34% 증가한 51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회사 전체 매출의 약 13%를 차지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로 인해 Farxiga의 매출 성장세가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베링거인겔하임과 일라이릴리의 Jardiance도 2023년 글로벌 매출이 55억 유로를 넘어서며 강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 약물의 매출은 베링거인겔하임 전체 매출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어, 회사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미래 전망

SGLT-2 억제제 시장은 2024년 약 240억 달러 규모에서 2030년까지 연평균 1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며 400억 달러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번 연구 결과로 인해 성장률이 더욱 높아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히 치매 예방 효과가 입증됨에 따라, SGLT-2 억제제의 사용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주로 심혈관 질환 위험이 높은 환자들에게 우선적으로 처방되고 있지만, 향후에는 치매 위험이 높은 고령의 당뇨병 환자들에게도 적극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이 연구 결과는 SGLT-2 억제제의 새로운 적응증 개발 가능성도 시사합니다. 현재 몇몇 제약회사들이 SGLT-2 억제제의 알츠하이머병 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시험을 진행 중인데, 이번 연구 결과가 이러한 노력에 더욱 힘을 실어줄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이번 연구는 당뇨병 치료와 치매 예방이라는 두 가지 중요한 의학적 과제를 연결 지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습니다. 향후 SGLT-2 억제제 시장의 성장과 함께, 관련 기업들의 실적 개선 및 주가 상승 가능성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투자자들은 경쟁 약물의 개발 상황, 규제 환경의 변화, 보험 적용 범위 등 다양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할 것입니다.

Citations:
[1] https://firstpagesage.com/business/pharmaceutical-company-valuation-ebitda-multiples/
[2] https://www.julphar.net/en/investors
[3] https://bmjopen.bmj.com/content/2/2/e000897
[4] https://www.spglobal.com/ratings/en/research/articles/240124-pharmaceutical-industry-2024-credit-outlook-is-stable-as-revenue-growth-mitigates-pressures-12971972
[5] https://kaloramainformation.com/product/top-25-pharmaceutical-company-pipeline-analysis-and-sales-projections-to-2025/
[6] https://www.openhealthgroup.com/news/16-07-2024/a-review-of-the-2024-quantitative-evidence-synthesis-guidelines-key-updates-and-future-directions/
[7] https://clarivate.com/news/clarivate-identifies-five-breakthrough-medical-technologies-set-to-transform-patient-care-in-2024/
[8] https://www.bmj.com/archive/sevend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