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고서

연예인들은 시상식에서 왜 SPA 브랜드를 입나? (레드시니커즈 효과)

by 행복한 투자자 2024. 9. 30.

레드 스니커즈와 허름한 옷: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새로운 권력 기호학

현대 소비사회에서 우리는 끊임없이 자신의 정체성을 상품을 통해 표현하고자 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러한 패러다임에 균열이 생기고 있다. 바로 '레드 스니커즈 효과'라 불리는 현상이 그것이다. 이는 사회적 규범을 의도적으로 위반하는 행동이 오히려 높은 지위와 능력의 표현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일컫는다. 특히 자수성가한 부자들이 명품샵에 허름한 옷차림으로 등장하는 모습은 이 효과의 극명한 예시라 할 수 있다. 본 기사에서는 이 현상의 근원과 의미, 그리고 그것이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I. 레드 스니커즈 효과: 새로운 권력의 기호학

'레드 스니커즈 효과'라는 용어는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프란체스카 지노 교수와 실비아 벨레자 연구원이 처음 사용했다[3]. 이들의 연구에 따르면, 격식을 차려야 하는 자리에 빨간 운동화를 신고 나타나는 등 사회적 규범을 의도적으로 위반하는 행동이 오히려 그 사람의 높은 지위나 능력을 나타내는 신호로 받아들여진다는 것이다.

이 효과의 핵심은 '의도성'에 있다. 단순히 무지해서 또는 실수로 규범을 어기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할 만한 능력과 지위가 있음을 과시하는 의도적인 행동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이는 부르디외가 말한 '문화자본'의 개념과도 맥을 같이 한다. 즉, 고급문화의 코드를 알면서도 의도적으로 그것을 무시할 수 있는 능력이 새로운 형태의 문화자본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II. 자수성가한 부자: 새로운 엘리트의 출현

자수성가한 부자들은 전통적인 상류층과는 다른 행동 양식을 보인다. 이들은 종종 자신의 부를 과시하는 데 있어 전통적인 방식을 거부하고, 오히려 '평범함'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단순히 겸손의 표현이 아니라, 자신들의 성공이 기존 체제 내에서가 아닌 그것을 뛰어넘음으로써 이루어졌다는 것을 암시하는 전략적 행동으로 볼 수 있다.

실리콘밸리의 테크 기업가들이 대표적인 예다. 페이스북의 마크 저커버그나 애플의 고 스티브 잡스와 같은 인물들은 공식 석상에서도 캐주얼한 옷차림을 고수했다[3]. 이는 단순히 편안함을 추구해서가 아니라, 기존의 비즈니스 관행에 얽매이지 않는 혁신적 정신을 상징하는 것이다.

III. 명품샵과 허름한 옷: 소비의 역설

명품샵에 허름한 옷을 입고 나타나는 행위는 레드 스니커즈 효과의 극명한 예시다. 이는 단순히 검소함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큰 부와 권력의 표현이 될 수 있다. 왜일까?

첫째, 이는 '숨겨진 부'의 존재를 암시한다. 겉으로 보이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가지고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둘째, 이는 사회적 기대와 규범에 얽매이지 않을 만큼의 자신감과 권력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셋째, 이는 '진정성'에 대한 현대 사회의 갈망을 충족시킨다. 화려한 외양보다는 '진짜' 가치를 중시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하버드대 경영대학원의 연구에 따르면, 명품 매장에 들어가는 수수한 옷차림의 고객은 오히려 잘 차려입은 고객보다 더 높은 지위를 가진 것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3]. 이는 명품 소비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더 이상 명품은 그 자체로 지위의 상징이 아니라, 그것을 어떻게 소비하느냐가 중요해진 것이다.

IV. 사회경제적 함의: 새로운 계급의 출현?

레드 스니커즈 효과와 그에 따른 소비 행태의 변화는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더 깊은 사회경제적 함의를 지닌다. 이는 새로운 형태의 계급 분화를 암시하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베블렌의 '과시적 소비' 이론에 따르면, 상류층은 자신의 부를 과시하기 위해 사치품을 소비한다. 그러나 레드 스니커즈 효과는 이러한 패러다임에 도전한다. 이제는 오히려 사치품을 의도적으로 거부하는 것이 더 높은 지위의 표현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부르디외의 '구별 짓기' 이론의 새로운 형태로 볼 수 있다. 더 이상 고급 문화를 향유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이제는 그것을 알면서도 의도적으로 무시할 수 있는 능력이 새로운 형태의 문화자본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새로운 엘리트 계층의 출현을 시사한다. 이들은 전통적인 부와 권력의 상징을 거부하면서도, paradoxically 그 거부를 통해 자신들의 우월한 지위를 과시한다. 이는 기존의 계급 구조에 균열을 가져올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V. 글로벌 맥락에서의 레드 스니커즈 효과

레드 스니커즈 효과는 단순히 서구 선진국의 현상에 그치지 않는다. 이는 글로벌한 맥락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중국의 경우, '샤이부커(晒包客)'라 불리는 명품 과시 문화가 한때 유행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오히려 '샤이핀커(晒贫客)'라 불리는, 자신의 검소함을 과시하는 문화가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이는 중국 사회에서도 레드 스니커즈 효과가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인도에서는 '쥬가드(jugaad)'라는 개념이 있다. 이는 제한된 자원으로 혁신적인 해결책을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신은 종종 허름한 외양 속에 숨겨진 혁신으로 나타나며, 이 역시 레드 스니커즈 효과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글로벌한 현상은 레드 스니커즈 효과가 단순한 문화적 트렌드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새로운 형태의 권력 표현 방식임을 시사한다.

VI. 비판적 시각: 새로운 형태의 엘리트주의?

그러나 레드 스니커즈 효과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해서는 안 된다. 이 현상이 가져올 수 있는 부정적 영향에 대해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째, 이는 새로운 형태의 엘리트주의로 변질될 위험이 있다. 겉으로는 평등과 소박함을 표방하지만, 실제로는 더욱 교묘한 방식으로 계급 차이를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이는 진정한 평등과 사회정의의 실현을 방해할 수 있다. 부자들이 '허름한 옷'이라는 가면 뒤에 숨어 자신들의 특권을 정당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이는 소비주의의 새로운 형태일 뿐이라는 비판도 가능하다. 겉으로는 소비를 거부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더욱 정교한 형태의 소비 패턴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것이다.

프랑스의 사회학자 장 보드리야르의 관점에서 보면, 이는 '기호의 소비'의 새로운 형태로 볼 수 있다. 더 이상 물건 자체가 아니라, 그것을 소비하지 않는다는 '기호'를 소비하는 것이다. 이는 소비주의의 종말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의 더욱 교묘한 진화로 볼 수 있다.

VII. 결론: 새로운 권력의 기호학을 향하여

레드 스니커즈 효과와 그에 따른 소비 행태의 변화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복잡한 권력 관계를 반영한다. 이는 단순한 패션 트렌드나 소비 행태의 변화를 넘어, 우리 사회의 권력 구조와 계급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다.

이 현상은 부와 권력의 표현 방식이 더욱 교묘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더 이상 화려한 외양만으로는 진정한 권력을 나타낼 수 없다. 오히려 그것을 의도적으로 거부할 수 있는 능력이 새로운 형태의 권력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반드시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이는 불평이 진정한 평등으로 이어질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형태의 불평등을 낳을 것인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우리는 이 현상을 단순히 받아들이기보다는, 그것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성찰해야 할 것이다.

Citations:
[1] https://www.mk.co.kr/news/business/7963422
[2] https://linkareer.com/activity/37028
[3] http://news.mk.co.kr/newsReadPrint.php?no=609191&year=2014
[4] https://blog.naver.com/dearato/221809718405
[5]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6/article_no/6152/ac/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