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고서

희토류 전쟁: 21세기 자원 패권의 새로운 전선

by 행복한 투자자 2024. 9. 21.

희토류 전쟁: 21세기 자원 패권의 새로운 전선

스마트폰부터 전기차, 첨단 무기 시스템까지. 현대 기술의 근간을 이루는 희토류를 둘러싼 국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중국의 독점적 지위에 도전장을 내민 미국과 그 동맹국들. 이 '희토류 전쟁'의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중국의 압도적 우위, 그러나 흔들리는 독점 체제

중국은 현재 전 세계 희토류 생산량의 약 70%, 정제 과정의 90% 이상을 장악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시장 점유율을 넘어서는 전략적 우위다. 1980년대 덩샤오핑의 "중동에 석유가 있다면, 중국에는 희토류가 있다"는 발언 이후, 중국은 체계적인 산업 정책을 통해 이 지위를 구축해왔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독점 체제에 균열이 생기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들이 희토류 공급망 다각화에 나서면서다. 전문가들은 2030년까지 중국의 시장 점유율이 60% 미만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의 반격: 동맹국과 손잡고 공급망 재편

미국은 희토류 자급률 제고를 국가 안보의 핵심 과제로 설정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호주, 캐나다 등 동맹국들과 협력하여 새로운 공급망 구축에 나섰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호주와 브라질의 희토류 프로젝트에 최대 8억 5천만 달러의 자금을 지원하기로 한 결정이다.

미 국방부도 이 전략적 자원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 국내 희토류 분리 용량과 네오디뮴 자석 제조를 늘리기 위해 거의 2억 달러를 투자했다. MP Materials는 캘리포니아에서 중희토류 원소를 처리하기 위해 3천 5백만 달러를 받았으며, 추가로 7억 달러를 투자하고 350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일본의 탈중국화 전략: 기술 혁신에 승부수

2010년 중국과의 영토 분쟁 당시 희토류 공급 중단을 경험한 일본은 가장 적극적으로 탈중국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의 전략은 크게 세 가지다. 첫째, 호주, 인도, 베트남 등 다양한 국가의 희토류 광산에 투자하여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한다. 둘째, 희토류 사용량을 줄이거나 대체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집중한다. 셋째, '도시 광산' 개념을 도입하여 희토류 재활용 산업을 육성한다.

특히 기술 혁신 분야에서 일본의 성과가 두드러진다. 도요타는 희토류를 사용하지 않는 전기차 모터 개발에 성공했으며, TDK는 희토류 사용량을 50% 이상 줄인 자석 개발에 성공했다.

유럽연합: 순환경제로 승부

유럽연합은 희토류 문제에 대해 다소 다른 접근을 취하고 있다. 'Raw Materials Alliance'를 설립하여 회원국 간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순환경제 정책을 통해 희토류 재활용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그린란드의 크바네피엘드 희토류 광산 개발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 중이다.

EU의 이러한 전략은 장기적으로 희토류 자급률을 높이는 동시에 환경 문제에도 대응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호주: 새로운 희토류 강국의 야망

풍부한 매장량을 바탕으로 호주는 새로운 희토류 강국으로 부상하려 하고 있다. 호주는 현재 세계 6위의 희토류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중희토류 원소의 매장량이 풍부하다.

호주 정부는 광산 개발 가속화, 정제 능력 확충, 국제 협력 강화 등을 통해 희토류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다만 높은 초기 투자 비용, 환경 규제, 기술력 부족 등이 도전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중국의 대응: 새로운 규제로 지배력 강화

중국은 이러한 도전에 새로운 규제로 맞서고 있다. 2024년 10월 1일부터 시행될 새로운 희토류 관리 조례는 무단 채굴 금지, 제품 추적 시스템 구현, R&D 장려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는 희토류를 전략 물자로 관리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해석된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2021년 말 단행된 3대 희토류 생산기업의 합병이다. 이로 인해 탄생한 China Rare Earth Group은 세계 최대 희토류 생산기업으로 부상했으며, 중국 희토류 생산 쿼터의 70%를 담당하게 되었다.

희토류 시장 전망: 급성장하는 수요, 변화하는 공급 구조

글로벌 희토류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1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전기차, 재생에너지, 5G 등 신기술 산업의 급속한 성장에 기인한다.

주목할 만한 트렌드는 다음과 같다:

  1. 네오디뮴(Nd)과 프라세오디뮴(Pr) 수요 급증: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이들 원소의 가격은 약 50% 상승했으며, 향후에도 강세가 예상된다.
  2. 재활용 산업 성장: 2025년까지 글로벌 희토류 재활용 시장이 연평균 7% 이상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3. 신기술 분야 수요 증가: 양자 컴퓨팅, 차세대 통신 기술 등 신기술 분야에서 희토류의 새로운 응용이 지속적으로 발견될 전망이다.

희토류 전쟁의 향방: 기술이 승부를 가른다

희토류를 둘러싼 국제 경쟁은 단순한 자원 확보 경쟁을 넘어 기술 패권의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미래의 승자는 단순히 희토류 자원을 많이 보유한 국가가 아니라, 이를 가장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과 시스템을 갖춘 국가가 될 것이다.

주목해야 할 기술 혁신 분야는 다음과 같다:

  1. 바이오 리칭(Bio-leaching): 미생물을 이용해 희토류를 추출하는 이 기술은 환경 친화적이며 비용 효율적인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2. 선택적 추출 기술: 특정 희토류 원소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기술은 정제 과정의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3. 나노 구조 자석: 나노 기술을 활용해 희토류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높은 성능을 유지하는 자석 개발이 진행 중이다.
  4. 고엔트로피 합금: 여러 원소를 균등한 비율로 혼합한 이 합금이 일부 희토류 응용 분야에서 대체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희토류 전쟁의 승자는 이러한 기술 혁신을 선도하는 국가가 될 것이다. 중국의 독점적 지위는 흔들리고 있지만, 여전히 강력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미국과 그 동맹국들의 도전이 성공할지, 아니면 중국이 새로운 전략으로 지배력을 유지할지 주목된다.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이 경쟁이 글로벌 기술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희토류 전쟁의 진정한 승자는 결국 기술 발전의 혜택을 누리게 될 전 세계 소비자들이 될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