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뉴스

원달러 환율 1,320원 붕괴: 중국 경기부양책과 미국 고용지표의 영향

by 행복한 투자자 2024. 9. 27.

원달러 환율 1,320원 붕괴: 중국 경기부양책과 미국 고용지표의 영향

최근 원달러 환율이 1,320원 선을 붕괴하며 16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중국의 대규모 경기부양책 발표와 미국의 예상보다 양호한 고용지표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원달러 환율의 향방이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최신 환율 동향: 1,320원 선 붕괴

27일 새벽 2시 기준 달러-원 환율은 전장 서울환시 종가 대비 13.60원 하락한 1,317.40원에 거래를 마쳤다[1]. 이는 지난달 26일 이후 처음으로 장중 1,320원을 하회한 수준이다. 주간거래 종가인 1,327.20원 대비로는 9.80원 하락했으며, 뉴욕 거래에서 낙폭이 더욱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중국 경기부양책의 영향: 위안화 강세와 원화 동반 상승

중국 정부가 최근 발표한 대규모 경기부양책이 원화 강세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인민은행(PBOC)은 은행의 지급준비율을 0.5%p 인하하고, 주요 정책금리를 0.2%p 낮추는 등 3,300억 달러 규모의 부양책을 발표했다[3][8]. 이는 팬데믹 이후 가장 큰 규모의 경기부양 조치로, 부동산 시장 안정화와 경제 성장 촉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의 이러한 조치로 인해 역외 위안화 가치가 1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역외 달러-위안(CNH) 환율은 '7위안' 선을 하회했다[1]. 위안화 강세는 원화 가치 상승으로 이어져, 원달러 환율 하락에 기여했다.

미국 고용지표 호조: 달러 약세 요인

미국의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예상보다 낮게 나타난 것도 원달러 환율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9월 21일 기준 미국의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21만8천명으로, 전주 대비 4천명 감소했다[5]. 이는 시장 예상치인 22만4천명을 하회하는 수준으로, 4개월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미국 노동시장의 견조함을 보여주는 이 지표는 달러 약세 요인으로 작용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DXY)는 뉴욕 오전 장중 100.9 부근까지 반등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1].

글로벌 금융시장 반응: 주식시장 상승세

중국의 경기부양책 발표와 미국의 양호한 고용지표는 글로벌 주식시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국 CSI 300 지수는 4.3% 상승하며 2020년 7월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8]. 미국 주요 지수들도 오름세를 이어갔으며, 이는 글로벌 투자 심리 개선으로 이어져 원화 강세에 간접적으로 기여했다.

원자재 시장 동향: 구리와 은 가격 상승

중국의 경기부양책 발표는 원자재 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구리 선물 가격은 10일 연속 상승하며 2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고, 은 선물 가격은 4.5% 이상 상승하며 10년 만의 최고치에 도달했다[8]. 이러한 원자재 가격 상승은 글로벌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하는 것으로, 원화 가치 상승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향후 전망 및 잠재적 시나리오

원달러 환율의 향후 움직임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추가적인 경기부양책 여부, 미국의 통화정책 방향, 글로벌 경기 회복 속도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1. 중국 경기부양책 확대 시나리오: 중국이 추가적인 재정 정책을 통해 경기부양에 나설 경우, 위안화 강세가 지속되며 원화 가치도 동반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원달러 환율은 추가 하락 압력을 받을 수 있다.
  2. 미국 통화정책 변화 시나리오: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질 경우, 달러 약세가 심화되며 원달러 환율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반면, 인플레이션 우려로 금리 인하가 지연될 경우 달러 강세로 이어져 원달러 환율 상승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3. 글로벌 경기 회복 시나리오: 세계 경제가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될 경우, 위험자산 선호 현상이 강화되며 원화를 포함한 신흥국 통화 강세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원달러 환율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4. 지정학적 리스크 증가 시나리오: 중동 지역의 갈등 심화나 미국 대선 관련 불확실성 증가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고조될 경우,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강화되며 달러 강세로 이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원달러 환율은 상승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한국 정부와 기업들은 환리스크 관리에 더욱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특히 수출 기업들의 경우, 환율 변동에 따른 수익성 변화에 대비한 전략 수립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정부는 급격한 환율 변동이 실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원달러 환율은 당분간 글로벌 경제 상황과 주요국의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경기부양책 효과, 미국의 경제 지표 변화, 그리고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 등을 주시하며 환율 변동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시점이다.

Citations:
[1] https://www.aljazeera.com/economy/2024/9/24/china-rolls-out-stimulus-measures-to-boost-ailing-economy
[2] https://cfifinancial.com/en/lb/blog/forex/dollars-index-dxy-analysis
[3]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4/sep/24/china-economy-stimulus-package-measures-yuan-pbc
[4] https://tradingeconomics.com/dxy:cur
[5] https://economictimes.indiatimes.com/news/international/world-news/us-weekly-jobless-claims-unexpectedly-fall/articleshow/113704948.cms
[6] https://wise.com/kr/currency-converter/usd-to-krw-rate/history
[7] https://www.dol.gov/ui/data.pdf
[8] https://finance.yahoo.com/news/what-chinas-biggest-stimulus-since-the-pandemic-means-for-us-investors-morning-brief-100039804.html
[9] https://www.juliusbaer.com/en/insights/cio-views/how-will-chinas-mega-stimulus-package-impact-the-global-economy/